KPI
KPI 란 무엇일까?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핵심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요소들에 대한 성과지표이다.
핵심 지표 설정이 의미하는 것
Business Model 이 '성장하려면 무엇에 집중해야 하는가'를 알기 위한 것이라면, 핵심 지표 설정은 '우리는 지금 잘 가고 있는 것일까' 를 알기 위한 것이다. 핵심 지표 설정을 통해 알고자 하는것은 다음과 같다. 우리가 집중하고 있는 것이 옳은 방향인지, 어떤 지표를 통해 잘 하고 있는지 스스로 평가 할 수 있을지, 성장하기 위해서는 어떤 지표를 개선해야하는지,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지표를 통해 얘기해야할지. 또한 측정 가능한 정량적 지표여야한다. (예시 : 매월 평균 매출, 고객 유지 또는 이탈, MAU, DAU, 실적, 비용 등)
KPI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KPI는 단어 그대로 Key, Performance, Indicator 세 가지를 통해 만들어지며 우리는 제품을 KPI 관점에서 바라볼 줄 알아야 한다.
- Key (핵심) : 가고자 하는 방향을 의미함, 무엇이 제일 중요한가
- Performance (성과) : 무엇이 성과를 대변하는가
- Indicator (지표) : 어떻게 수치화 할 수 있는가
내가 담고자 하는 핵심이 무엇인가와, 이것이 달성한 성과가 무엇인지를 담고 있어야 하고, 그걸 숫자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오아시스 마켓 KPI
오아시스 마켓은 마켓컬리와 같이 신선식품 새벽배송하는 프로덕트이다. (오아시스 마켓을 줄여서 오아시스라고 하겠다)
오아시스는 온.오프라인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생산자 직거래 시스템’을 도입해 모든 상품을 직매입하고 마진을 최소화하는 대신 품질이 우수한 상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설계했다. 상품 기획·재고 효율화의 비결이다. 특히 오프라인 매장에서 폐기 상품의 판매 등 관리가 잘 되어 유일하게 흑자를 내는 신선식품 배송 기업이다. 오아시스 마켓은 특히 3040 주부들을 타깃으로 정말 필요한 (신선식품)제품군에 집중하여 제공중이며. 프리미엄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며'세상에 없는 가격'이라는 문구로 홍보하고 있다.
오아시스의 모회사는 IT계열 기업이다. 그 점을 통해 오아시스는 오아시스 물류 시스템의 최적화를 먼저 구축했고
물류 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프로세스인 피킹(Picking)과 패킹(Packing)을 효율적으로 만들어, 물류 시스템에 들어갈 비용을 최소화하였다. ( ‘오아시스 루트’라는 모바일 앱이다. 작업자는 앱을 통해 발주, 입고, 보관, 선별, 포장, 배송 등의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오아시스는 이 시스템에 대한 특허 등록을 추진 중이다.) 또한 어플 안에 UX또한 마켓컬리와 쓱배송에 견주어 전혀 뒤떨어지지 않는것을 느낄 수 있었다.
오아시스가 추구하는 목표는 믿을 수 있는 먹거리를 제공하는 것 '품질감동' '서비스 감동' '가격감동' 이라는 슬로건아래 품질은 최고 가격은 최저가로 365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 최저가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물류시스템이 잘 돌아가는지 직거래 시스템은 잘 돌아가는지 확인해야한다. 물류 시스템에서 지출을 줄이기 때문에 최저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가 타깃을 정한 유저 층(3040)이 우리의 제품을 잘 사용하고 있는지 알아야한다.
오아시스의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오아시스 마켓의 KPI는 무엇일까?
APP 이용률
1. MAU : Monthly Activity User 월별 활동한 이용자
2. DAU : Daily Activity Use 일별 활동한 이용자
3. ACU : Average Current User 평균 동시 접속 유저수
사용자
1. 신규 사용자 유입률
2. 구매 전환률
3. 환불율
1. 온라인 판매율
2. 오프라인 판매율
오아시스 마켓의 OKR은 무엇이 될까?
Objective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 신선식품 배송 브랜드 신뢰도 및 판매율 1위
Key Result (목표달성을 위해 얻어야 하는 결과)
- 재구매율 100% 달성
- 고객 만족도 100% 달성
- 구매 전환율 70% 이상
Initiative (목표 달성을 위해 해야하는 핵심적인 일)
- 상품군 증가
- 핵심 고객 확보
- 타깃 세부설정을 통한 광고 마케팅
추가적으로 볼 수 있는 자료
1. 5개년 매출 (온/ 오프라인 통합 )Revenue Growth Rate - RGR
마켓컬리, 쓱배송 점유율이 높은 기업들 또한 영업 이익보다는 매출액을 늘려 몸집 불리기를 하고 있는 시기이다. 하지만 새벽배송 서비스라는 적자의 늪에서 오아시스는 2019년도를 기점으로 흑자를 내는 유일한 기업이다. 2020년도 기준 매출액은 2386억을 달성했고 영업이익은 97억을 달성했다. 이를 통해 대기업 물류 서비스 사이에서 흑자를 내는 오아시스 마켓의 잠재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2. 매출 (온/ 오프라인) -> 온/오프라인의 매출이 바뀌는 순간!
오아시스는 온.오프라인을 운영하며 오프라인의 서포트가 중요한데!
팬데믹 이후 오아시스 2020년 오프라인 매출을 확인하면 오프라인의 매출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2. 분기별 매출 (온/ 오프라인)
2020년도의 분기별 매출을 확인하면 오프라인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온라인 재고의 폐기가 오프라인에서 잘 관리 되는 점을 알 수 있다.
4. 온라인 누적 회원 수 Customer Retention Rate - CRR
2019년도 부터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지만 특히 2019년도 4분기에 158억원의 매출액 달성과 23만 회원수를 달성하였고
2020년 4분기에는 2019년 4분기의 비교하여 누적 회원수와 매출이 두배 증가하는 큰 성장세를 볼 수 있다.
5. 오아시스 마켓 이용자 active users
2020 12월 - 안드로이드 기준 - 남자 12.3% 여자87.7%로 여성 사용자의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타깃 유저층인 3040여성이 잘 사용하는지 확인 할 수 있는 지표이다.
앱 ACTIVE 사용자 30대 25.1% 40대 51.7%로 확인 할 수 있다.
'Daily Product Manage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스테이츠 PMB 8기 - W4D2] 'NETXLIX' 심리학 대입 (0) | 2021.10.22 |
---|---|
[코드스테이츠 PMB 8기 - W4D1] '스타벅스' UX스터디 (0) | 2021.10.20 |
[코드스테이츠 PMB 8기 - W3D2 ] '지그재그' PMF 분석 (0) | 2021.10.15 |
[코드스테이츠 PMB 8기 - W3D1] '오아시스 마켓' 비즈니스 모델(BM) (0) | 2021.10.13 |
[코드스테이츠 PMB 8기 - W2D4] '당근마켓' 역기획 (0) | 2021.10.08 |